다양한 시선으로 다시 읽는 용산공원: 공공예술, 공원운영, 역사문화유산, 도시구조 그리고 생태적 의미
용산공원을 읽는 다양한 이슈 가운데 조심스레 다섯 가지 주제를 고르고,
오랫동안 고민해오신 전문가들을 모셨습니다.
'공공예술과 문화콘텐츠(6/23)'
'공원운영과 관리전략(7/21)'
'역사문화유산 보존과 활용(8/25)'
'용산공원과 도시구조개편(9/22)'
그리고
'공원의 생태적 의미(10/20)'
다섯 번의 만남으로 용산공원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.
그러나
용산공원을 꼼꼼히 읽어내는 첫 번째 지점들을 찾아갈 수는 있습니다.
이 여름, 다섯 권의 '용산공원' 일독을 권합니다.
공원탐독1: 공원, 예술의 장
다양한 층위의 전문가를 모시고 용산공원에 적용가능한 공공미술, 예술기획, 문화콘텐츠에 대한 논의를 나누고자 합니다.
2017년 6월 23일, 금요일 오후 2시
전쟁기념관 이병형홀(삼각지역)
사회
김영민 교수 /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
정다영 학예연구사 / 국립현대미술관
발제 및 토론
문경원 교수 /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
양철모 작가 / 믹스라이스
이재준 소장 / 리마크프레스
공원탐독1_공원, 예술의 장
공원탐독2: 공원, 어떻게 경영할 것인가
국내 공원운영 관계자와 공공공간 브랜딩 및 마케팅 전문가를 모시고 용산공원의 경영과 관리전략에 대한 논의를 나누고자 합니다.
2017년 7월 21일, 금요일 오후 2시
전쟁기념관 이병형홀(삼각지역)
사회
김영민 교수 /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
발제1: 국내 공원운영 현황 및 사례
이근향 과장 / 서울특별시 중부공원녹지사업소; 뉴욕 센트럴파크와 서울 남산공원
이동흡 그린부산지원관 / 부산광역시 공원운영과; 부산시민공원
이한아 처장 / 서울그린트러스트 사무처; 서울숲
차수경 사무관 / 울산광역시 녹지공원과; 울산대공원
발제2: 공공공간의 브랜딩 및 마케팅 전략
박은실 교수 /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
최용석 대표 / 아이디어플랩
공원탐독3_공원, 어떻게 경영할 것인가
공원탐독3: 용산공원과 역사유산
건축과 역사 전문가를 모시고, 용산기지 내 역사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를 나누고자 합니다.
2017년 8월 25일, 금요일 오후 2시
전쟁기념관 이병형홀(삼각지역)
사회
김영민 교수 /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
발제
안창모 교수 / 경기대학교 건축학과
홍지윤 연구위원 / 중앙문화재연구원
토론
김기수 교수 / 동아대학교 건축학과
박준범 교수 /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
발제자 전원
공원탐독3_용산공원과 역사유산
공원탐독4: 용산, 공원과 도시구조
도시 분야 전문가를 모시고, 용산공원 주변지역의 변화와 도시구조에 대한 논의를 나누고자 합니다.
2017년 9월 22일, 금요일 오후 2-5시
전쟁기념관 이병형홀(삼각지역)
사회
김영민 교수 /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
발제
김기호 교수 /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
김승범 소장 / 브이더블유랩
토론
안창모 교수 / 경기대학교 건축학과
이영범 교수 / 경기대학교 건축학과
장남종 연구위원 /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
발제자 전원
공원탐독4_용산, 공원과 도시구조
공원탐독5: 공원, 생태 너머로
현대 도시에서 용산공원이 품어야할 생태적 의미에 대해 청해 듣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.
2017년 10월 20일, 금요일 오후 2-5시
전쟁기념관 이병형홀(삼각지역)
사회
김영민 교수 /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
초청특강
최재천 석좌교수 /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
청중과의 대화
배성호 과장 / 국토교통부 용산공원기획단 공원정책과
배정한 교수 / 서울대학교 조경·지역시스템공학부
안창모 교수 /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
최혜영 교수 /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
공원탐독5_공원, 생태 너머로